본문 바로가기

restapi3

📃 Swagger로 REST API 문서 자동화하기 📌 개요백엔드 API를 만들었지만, 문서화는 매번 귀찮고 누락되기 쉽습니다.이럴 때 사용하면 좋은 도구가 바로 **Swagger (OpenAPI)**입니다.이번 글에서는 Node.js + Express 환경에서 Swagger를 설치하고,자동으로 API 문서를 생성하고 테스트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핵심 개념🔍 Swagger란?REST API를 시각적으로 문서화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도구OpenAPI 스펙을 기반으로 자동 문서 생성API 스펙 공유, 테스트, 버전 관리까지 용이📘 Swagger의 주요 도구swagger-jsdoc: 주석 기반으로 Swagger 스펙 자동 생성swagger-ui-express: 생성된 스펙을 웹 페이지 형태로 표시💡 실전 팁 또는 실습🛠️ 1단계: 패키지 설치n.. 2025. 3. 26.
🛠 실습으로 배우는 Express 기반 REST API 만들기 📌 개요Node.js를 이용해 백엔드를 만들 때 가장 많이 쓰이는 프레임워크가 바로 Express.js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Express를 이용해 간단한 REST API 서버를 만드는 방법을 실습 형태로 알려드릴게요.설치부터 시작해서라우팅 구조 설계JSON 데이터 처리CRUD API 완성까지 차근차근 따라올 수 있습니다.🧠 핵심 개념🚀 Express란?Node.js에서 동작하는 웹 프레임워크라우팅, 미들웨어, 에러 처리 등을 간단하게 처리 가능REST API 설계에 적합한 구조 제공🌐 REST API란?URI(자원) + HTTP 메서드로 동작하는 API 패턴예:GET /posts → 글 목록 가져오기POST /posts → 새 글 등록하기DELETE /posts/:id → 특정 글 삭제하기💡.. 2025. 3. 26.
📡 REST API 완전 정복: 개념부터 실무 적용까지 요즘 개발자라면 꼭 알아야 하는 단어, 바로 REST API입니다.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분리된 구조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핵심 통신 방식인데요, 이름은 많이 들어봤지만 제대로 설명하기는 어려운 개념이기도 하죠.이 글에서는 REST API의 개념부터 실무에서 사용하는 방법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REST란 무엇인가?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자원을 URI로 표현하고, HTTP 메서드(GET, POST 등)를 사용해서 자원을 처리하는 방식입니다.즉, 웹이라는 기반 위에서 통신을 단순하고 일관되게 만드는 하나의 ‘설계 철학’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REST API의 구성 요소자원(Resource)URI로 표현예: /users, /products/.. 2025. 3. 26.
반응형